DTaQ 미디어룸
  • 실시간 뉴스
  • 기술로 품질로
  • DTaQ TV
  • DQS 매거진
  • 이달의 뉴스레터
  • 이벤트

구독신청

관심주제
● 개인정보수집 정책 및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국방기술품질원은 미디어룸 구독 을 위해 수집되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수집항목 : 이름, 이메일
- 제공받는 자 : 국방기술품질원 미디어룸 운영 대행사(디자인글꼴)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뉴스레터 발행시 메일 발송과 발송 취소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구독 취소 직후, 바로 파기
                        

자료검색

~

DQS 매거진

더보기

미래 전장의 게임체인저! 유무인 복합체계를 위한 개방형 아키텍처 적용 방안

2023. 08. 23
주요 군사 선진국들은 병역자원이 감소하는 사회환경의 변화와 AI·무인자율 등 첨단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유인기와 무인기의 복합 운용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고, 우리 군도 국방혁신 4.0의 주요 과제 중 하나로 유무인 복합체계 구축을 선정하여 이를 위한 기술 확보 추진 중에 있다. 현재 국내 유무인 복합체계는 지상, 해상, 공중으로 구분하여 각 군에서 운용개념을 정립 중인 초기 단계에 있으며, 전군의 상호 운용과 통합을 위해서는 주요 기술에 대한 공통적 접근 및 적용이 필요하다. 유무인 복합체계의 구축을 위한 핵심소요기술인 공통 아키텍처의 개념을 파악하고 해당 기술이 적용된 개방형 시스템 아키텍처들을 비교하여 이를 적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유·무인복합체계 적용 K-MOSA 개념소개 및 평가관련 향후 연구방향

2025. 07. 31
현재 국방부에서는 첨단기술이 반영된 유·무인복합체계에 대한 전력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신속한 무인체계의 확보를 위해서 미국의 MOSA(Modular Open System Approach) 개념을 한국화한 K-MOSA의 적용방안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MOSA 개념에 따른 공통아키텍처 표준 기반의 모듈화 개발을 통해서 표준화된 무인체계를 신속하게 개발하고, 모듈화된 장비를 빠르게 교체함으로써 전력조합의 유연성을 확보하고자 하고 있다. 이런 환경속에서 본 기고문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K-MOSA 적용 정책에 대한 추진배경 및 필요성을 소개하고, 기품원이 현재 주도적으로 추진중인 시험인증체계 분과에서 추진중인 방향성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차세대 군용 레이더의 심장 : 고출력 GaN 기반 SSPA 기술

2025. 08. 29
현대 무기체계의 경쟁력은 '눈'과 '귀'의 성능, 즉 센서 시스템의 탐지 능력과 반응 속도에서 결정된다. 특히 레이더는 전장 감시, 표적 탐지 및 추적, 미사일 유도, 전자전 등 다양한 임무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그 성능이 곧 국가 안보 및 군사력의 경쟁력으로 직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자주사식 위상배열 안테나(AESA :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는 기계식 레이더의 한계를 극복하며 현대 레이더 기술의 정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AESA 레이더의 핵심 구성요소는 바로 송수신모듈(TRM : Transmit/Receive Module)로, 각 안테나 소자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빔 조향, 다중 표적 추적, 다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최근 이러한 TRM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질화갈륨(GaN : Gallium Nitride) 기반 고체상태 전력증폭기(SSPA : Solid-State Power Amplifier)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GaN은 기존의 갈륨비소(GaAs : Gallium Arsenide)를 대체할 물질로, 고출력, 고내열, 광대역 특성을 바탕으로 미래형 레이더, 통신, 전자전 플랫폼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기고문에서는 GaN 기반 SSPA 기술의 개념 및 특성을 소개한다.
국방기술품질원 (52851) 경남 진주시 동진로 420
Copyright© DTaQ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