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aQ 미디어룸
  • 실시간 뉴스
  • 기술로 품질로
  • DTaQ TV
  • DQS 매거진
  • 이달의 뉴스레터
  • 이벤트

구독신청

관심주제
● 개인정보수집 정책 및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국방기술품질원은 미디어룸 구독 을 위해 수집되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수집항목 : 이름, 이메일
- 제공받는 자 : 국방기술품질원 미디어룸 운영 대행사(디자인글꼴)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뉴스레터 발행시 메일 발송과 발송 취소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구독 취소 직후, 바로 파기
                        

자료검색

~

실시간 뉴스

더보기

K-방산의 미래, 국방품질에서 답을 찾다

2025. 07. 10
- 방위사업청·국방기술품질원, 「2025 국방품질 종합학술대회」 개최
- 산·학·연·군·관, 방산수출 전략과 글로벌 품질경쟁력 집중 논의

군수품 품질 논문 16편 수록… 「국방품질연구논집」 7권 1호 발간

2025. 07. 01
KCI 등재 학술지 위상 속
군 현장·산업계 연구성과 대거 수록

국방품질연구회(DQS), 방산업계와 지속 가능한 수출 방안 논의

2025. 03. 18
- 방산업계 주요 관계자가 참여한 ‘DQS 이사진 소통 간담회’ 개최 - 지속 가능한 방산수출을 위한 품질 전략 및 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

민·군규격표준화사업, 2025년도 연구개발과제 주관연구개발기관 공모

2025. 05. 23
인공지능 체계 신뢰성 시험 표준화 연구 과제 대상

국방기술품질원,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 획득

2023. 09. 26
- 군수품의 환경 및 신뢰성 시험이 가능해지다 - 진동시험분야 및 신뢰성시험분야 인정 신규 획득 - 총 11개 규격에 대한 KOLAS 공인 인정 시험 수행 가능

기술로 품질로

더보기

감항정보회보(Airworthiness Information Bulletin) NO.1

2025. 06. 26

국방중기계획을 통해 살펴본 첨단과학기술군 추진 현황과 국방기술품질원의 역할

2022. 02. 21
대한민국의 국방력은 지금까지 가보지 못한 새로운 영역으로 뻗어 나가기 위한 대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국방개혁 2.0에 따른 첨단과학기술군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경항공모함과 한국형 전투기, 국방우주전력까지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될 새롭고 다양한 자산들이 개발·전력화될 전망이다. 국방부가 지난 9월 발표한 2022~2026 국방중기계획을 중심으로 우리 군의 전력증강 비전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국방기술품질원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봤다.

군용항공기 생산확인 업무체계 효율화 방안

2023. 08. 18
방위력개선사업의 일환으로 획득되는 군용항공기는 관련 법령에 따라 형식인증과 생산확인이라는 단계별 감항성 심사단계를 거쳐야 한다. 생산확인은 군용항공기가 승인된 설계에 맞게 생산될 수 있는 기술, 설비, 인력 및 품질보증체계 등을 확인하는 업무로 군용항공기 제작업체를 대상으로 평가하게 된다. 지난 수년간 다수의 군용항공기 획득사업이 수행됨에 따라 제작업체에 대한 생산확인도 수반되어왔으나, 하나의 업체에 다수의 계약이 성사될 수 밖에 없는 국내 국방 획득환경의 제한적 여건으로 인해 생산확인 평가를 중복수행 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구조로 운용되어 왔다. 생산확인 평가의 본질에 집중한다면 이는 제작업체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도 매우 비효율적인 운영방식으로, 본 기고에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수행 가능한 생산확인 제도의 개선방안과 이를 현업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K-방산의 글로벌 항로, 품질 전략에서 출발하다

2025. 07. 23
대한민국은 세계 4대 방산 강국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 중심에는 산·학·연·관·군이 하나 된 ‘원팀(One Team)’의 이름으로 K-방산 수출 확대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꾸준한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K-방산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 기반을 더욱 견고히 다지기 위한 자리로 ‘2025 국방품질 종합학술대회’가 열렸다.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고 있는 K-방산의 미래를 주제로 한 다양한 논의가 오간 현장을 생생하게 전한다.

4차 산업혁명과 국방혁신 4.0, 도전적 환경변화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2023. 01. 03
국방기술품질원은 2022년 12월 1일 서울 양재동에서 한국품질경영학회 및 한국표준협회와 공동으로 국방품질 4.0 포럼을 개최하였다. ’국방혁신 4.0 시대의 국방품질경영 발전방향‘을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 방위사업청 주요관계자와 방산업체 최고품질책임자(CQO) 등 130여 명이 참석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국방품질경영 정책과 제도 개선, 인프라 구축과 전문인력 양성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기고문을 통해 포럼 발제와 패널 토론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DQS 매거진

더보기

OTA(Over The Air)를 통한 국방 SW 원격 업데이트 및 보안 방안

2024. 05. 27
OTA(Over The Air)란 무선통신으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기술이다. 민수 분야에서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인 테슬라, 국내 기업으로는 현대자동차에서 OTA 기술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비스를 준비 및 실시 중에 있다. 국방 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으로 인해 SW 신뢰성이 중요해진만큼 OTA 기술을 적용함으로서 SW 신뢰성 향상, 무기체계 전력화 공백 최소화 및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국방 환경에 맞는 OTA 보안 방안을 적용하여, 원격 업데이트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고자한다.

계약 전 품질기획활동을 통한 무기체계 개발단계 품질요구도 식별·관리방안

2023. 08. 30
지금까지의 품질관리 개념은 주어진 사용자 요구도를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 통용되어 왔다. 그러나 앞으로는 사용자 요구도 충족은 기본이고, 사용자가 요구하기에 앞서 더 나은 기능과 성능으로 개량될 수 있도록 연구하는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무기체계 획득과정에서 이러한 품질관리 관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업착수 전의 선제적이고 능동적인 품질기획활동이 필요하다.

DoD DSP가 뭐예유?

2024. 10. 28
2편에서 DoD DSP 총람의 전반적인 내용 소개와 함께 12종 프로그램 가운데 8종의 프로그램에 대해 다루었다. 이를 통해 국방 규격의 개념 재정립, 운영 프로그램 재검토, MOSA 및 AM 프로그램 도입, 기술자료 관리 등을 제안했다. 3편에서는 DoD DSP 부품관리 패밀리 프로그램(품목 감축 포함) 5종을 중심으로 설명해 나가고자 한다. 부품관리 패밀리 프로그램은 시너지 효과를 위해 연계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군의 부품단종 프로그램은 국방부와 각 군의 요구에 따라 국방표준화 프로그램으로서 소속이 애매한 가운데 운영되고 있다. 단일 PM 관장 하에 체계적으로 운영 중인 DoD 부품관리 패밀리 프로그램과 관련 문서를 통해 향후 한국군이 프로그램으로 도입하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하면서 세 번째 비행 Take off!

AS9146 기반 항공기 생산공정 FOD 예방 시스템 구축

2025. 05. 27
항공기 생산공정에서 FOD는 시스템 신뢰성과 비행 안전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품질 리스크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을 체계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SAE International은 FOD 예방을 위한 국제표준인 AS9146을 제정하였다. 본 기고문에서는 AS9146을 기반으로 항공기 생산단계에서의 FOD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을 다룬다. 우선 FOD의 정의와 유형을 분류하고, 공정별 주요 발생 메커니즘을 리스크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이어 AS9146이 요구하는 다층적 예방 체계(청정구역 관리, 공구 통제, 교육훈련, 모니터링 및 최종 인증)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현장 적용 시 발생하는 주요 한계 요인(공정 압박, 비용 절감 압력, 품질문화 편차)도 파악하였다. FOD-Free 생산은 단순한 품질절차 준수를 넘어, 조직의 품질시스템 성숙도와 예방문화 정착 수준을 반영하는 지표로 작용한다. AS9146은 이러한 체계를 구체화한 품질표준으로, 항공기 제조 현장의 예방역량을 높이고 품질 리스크를 구조적으로 줄이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전기추진 항공기 개발 활성화에 따른 감항인증기준 연구 동향 소개 및 군 감항인증 분야 발전방안 제언

2024. 03. 25
최근 온실가스 등으로 지구온난화가 가속됨에 따라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배출가스 규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민·군에서는 항공기의 전기추진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추진 항공기가 개발되어 국내에서 운용하기 위해서는 ‘군용항공기 비행안전성 인증에 관한 법률’, ‘항공안전법’에 따라 감항인증을 받아야 하며, 민간의 경우 전기추진 항공기를 위한 감항인증기준 개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군의 경우 감항인증을 위해 ‘군용항공기 표준감항인증기준’을 활용하나 내연기관 추진시스템에 적합하게 개발되어 있어 전기추진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감항인증기준 연구가 필수적이나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기고에서는 전기추진 항공기의 핵심 구성품에 대한 국내·외 개발 동향 및 관련 감항인증기준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군 감항인증 분야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방기술품질원 (52851) 경남 진주시 동진로 420
Copyright© DTaQ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