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품질연구회(DQS)가 전하는 품질 인사이트

DQS 매거진

부품단종 대응을 위한 부품정보 예측 기술의 발전 방향

2024. 04. 25

국방기술품질원 성능개량연구실 박종건 선임연구원

국방기술품질원 성능개량연구실 박상근 연구원

오늘날 고성능의 반도체 및 전자부품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매우 빠르게 개발되고 상용화되고 있다. 이는 곧 전자부품의 개발 및 운용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운용기간이 긴 군수품의 경우 기술의 발전이 무기체계의 운용성 측면에서 운영유지비의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미국은 ’06년에 SD-22 부품단종관리 가이드북을 제정하여 군수품의 부품단종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획득단계 부품단종관리 업무 매뉴얼의 제정(’20.4월), 총수명주기관리훈령 개정 등을 통해 부품단종에 대해 대응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부품단종에 대한 대내·외 인식 변화와 대두되는 단종부품관리 중요성에 맞추어 부품단종 대응 방안의 연구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술발전의 역설

반도체의 대표적인 전자부품인 CPU(중앙처리장치)의 경우 연산능력으로 그 성능을 비교한다. CPU는 기술발전의 가장 큰 지표로써 활용되는데 대표적인 예로 2005년에 도입한 기상청 슈퍼컴퓨터 2호기(Cray X1E, 도입가격 약900억원)의 경우 이론성능 18.5TFLOPs1)를 보여준다[1].

그림 1. 기상청 슈퍼컴퓨터 2호기

하지만 현재 기준으로 보면 널리 알려진 개인용 게임기인 플레이스테이션5의 경우 이론성능 10.28TFLOPs으로 과거 가격으로 비교했을 때 1억원으로 얻을 수 있는 성능은 2005년 기준 0.02TF/억원 이었으나, 2023년 기준 1,028.00TF/억원으로 18년의 기간동안 가격대비 성능 기준으로 5만배의 발전을 이루었다.

기체계와 같은 군수품은 평균 5~10년의 개발기간과 20~30년의 운영 유지기간으로 평균 25~40년 동안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획득비용보다 운영유지비용이 2~3배이상 소요된다[2]. 향후 높아진 무기체계 획득비용과 더불어 운영유지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장시간의 개발 및 운용기간으로 인해 무기체계에서는 다양한 부품에서 단종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단종으로 인해 운영유지단계에서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림 2. 수명주기 비용 구조 비교

부품단종으로 인한 문제 발생 사례

미 공군 스텔스 전투기 F-22의 경우 2012년 1000여 개의 부품의 단종으로 인해 제조 라인 중 다수가 생산이 중단되어 양산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사례에서는 육군의 제독장비(KDS-1)가 엔진수리부속의 단종으로 인해 운영유지간에 문제가 발생하였다.[3]. 현재 개발단계에서도 부품단종으로 인한 형상통제 등의 업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실제 알려진 사례보다 많은 부품단종으로 인한 행정 및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단종된 부품은 단순히 운영유지만의 문제로 끝나는게 아니라 원제작사의 생산 종료로 애프터마켓에서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운영유지비에 부담을 주고 있다. 단종부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4], 이로 인해 예산절감을 위해 노후된 무기체계를 유지하는 행위가 오히려 운영유지비를 상승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및 한국의 정책적 대응방향

이러한 부품단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군의 경우 부품단종관리프로그램(SD-22: “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s and Material Shortages”) 을 2006년에 제정하여 부품단종에 대한 대응을 정책적으로 수행하고 있다[4]. 국내의 경우 획득단계 부품단종관리 업무 매뉴얼, 부품단종관리 가이드북을 제정하여 총수명주기에 걸쳐 부품단종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그림 3. SD-22 2022년 개정본 표지

부품단종 대응을 통한 절감 사례

미국의 경우 부품단종에 대해 사전관리를 통해 비용절감 사례를 아래와 같이 보고하였다[5]. 이렇게 보고된 사례중 B-2 폭격기 부품단종 사전대응 프로그램을 통해 사후 대응 대비 $285.5M의 비용 절감을 이루었으며[5], 버지니아급 잠수함 사업의 설계초기단계 부품단종관리를 통해 $188M의 비용을 절감하였다[4]. 국내의 경우 ○○체계에 대해 부품단종 대응 방안을 미수행했을 경우 20년 수명주기 가정시 16억원의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상용정보서비스를 통한 부품단종 정보 식별

부품단종관리 업무는 부품에 대한 단종 정보를 사전에 식별하여 미래의 단종을 예측하는 방안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부품단종 예측도구를 활용하여 상용부품에 대한 단종을 예측하고 있다. 현재 각 군 및 해병대사령부와 기업체는 표1과 같은 부품단종 예측도구(상용정보제공 프로그램)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부품정보는 국내 방산업체 및 소요군에서도 사용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부품에 대한 정보 획득 및 예측값을 활용하여 부품단종에 대한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도구명 주요 기능
BOM Intelligence & Parts Intelligence
  • 부품단종 상태, 대체품, EOL 정보 제공
  • IHS 사 제공
SMART
  • 단종 상태, 대체품, EOL(end of life) 정보 제공
  • RAC 사 제공
  • 외부 DB 추출정보 사용
Q-STAR
  • 단종 상태, 대체품, EOL 정보 제공
  • 카탈로그(설명서, 데이터시트, 규격) 정보 제공
  • QTEC Solutions 사 제공
A-Brain
  • 단종, 수명주기, 대체품 등의 정보 제공 서비스
  • 애니파이브 사 제공

표 1 부품단종 예측도구

하지만 이런 상용예측도구의 정보 획득률은 최대 50%수준[7]으로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종류가 워낙 광범위해서 정확도와 정보 획득률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설사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그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부품제작사 및 부품공급사에게 부품정보를 재확인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딥러닝을 통한 부품단종 정보 예측 기법

부품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식별하여 미래의 단종을 예측하는 방안으로 부품정보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예측방안 기술 개발이 보고되었다[8]. 해당 기술은 상용부품단종 예측도구에서 제공하는 부품에 대한 정형,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전처리 및 단어의 벡터화를 통한 Embedding2)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 모델인 Fully connected Neural Net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입력값으로 Embedding Value, 출력값으로 LC Risk3), YTEOL4)을 학습하는 모델로 제시하였다[8].

그림 4. 부품단종정보 예측 알고리즘

이렇게 제시된 딥러닝을 통한 부품정보의 예측 결과의 정확도는 90.5%로 보고되었다[8]. 해당 기법을 통해 부품정보예측 정확도가 확인되었으며 국방기술품질원은 향후 해당 기술[8]을 통해 부품단종관리정보체계에 탑재하여 활용하거나, 해당 기술의 보유자인 ○○○와 협의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부품공용화를 통한 부품관리 방안 연구

부품단종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설계단계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부품을 많은 무기체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공용화하는 방안이 연구되었다[9]. 민수 및 군수 분야에 사용되는 전기전자 부품을 조사하여 공용화 가능한 부품군을 선정하고, 무기체계를 설계할 때부터 부품의 우선선정기준 및 리스트를 제시하였다[9]. 위 방법의 경우 민수의 규모대비 방위산업체의 부품 소요가 너무 작기 때문에 큰 효과를 발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국내 전 산업에 걸쳐 우선사용 부품을 공용화 하는 방안의 추진이 필요하다.

부품단종 대응 발전 방안 및 및 결언

우리 나라가 전세계 부품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메모리 분야를 제외하고 크지 않다. 이는 현재 미·중 무역갈등,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및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디커플링화(공급망 분리)되는 글로벌 정세에 비추어보았을 때 어려운 조건에 있는게 현실이다. 부품에 대한 정보의 가치가 더욱더 중요하게 다가오고 있다. 부품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획득하여 대응 방안을 미리 계획하는 것만으로도 부품단종에 대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품 정보의 획득률 및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더욱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1) TFLOPs : 1초당 1조개의 부동소수점 연산처리량의 단위
2) Embedding(임베딩) : 언어(단어)를 0과 1로 인식시켜주기 위해 특징을 추출하여 수치화 하는 과정
3) LC Risk(Life Cycle Risk) : 부품단종에 대한 위험도를 수치화한 값
4) YTEOL(Year To End Of Life) : 생산종료까지 남은 기간(년 단위)
참고문헌
  • 1. 대한민국 기상청 누리집 주요업무/예보업무/수치업무
  • 2.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A Study on the Progress Plan of DMSMS Management”, pp.1~8, 2017.
  • 3. H. W. Jung, B. H. Shim, “DMSMS Management Survey and Analysis Metho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Vol. 21, No. 5 pp.257-265, 2020. DOI: https://doi.org/10.5762/KAIS.2020.21.5.257
  • 4.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Office, “SD-22, 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s and Material Shortages, A Guidebook of Best Practices for Implementing”, pp. 9, 2021.
  • 5.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A Study on the Planning of DMSM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uild”, pp. 81~84, 2010.
  • 6. 박경덕, 이기원, 용화영, 김종진, 박병호 ‘부품단종관리 방안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사례 연구(2019년 국방품질 종합학술대회)
  • 7. Kwang-hyo Park, Bo-hyun Shim, “A study on the Research and Application for the Private DMSMS prediction tool”,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55, NO.12, Dec. 2018
    DOI : https://dx.doi.org/10.5573/ieie.2018.55.12.35
  • 8. Yun-kyung Park*, Ik-Do Lee, Kang-Taek Lee, Du-Jeoung Kim ILS R&d lAB, LIG Nex1 Co., Ltd “Study on predicting the commercial parts discontinuance using unstructured data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10 pp. 277-283, 2019
  • 9. Yun-kyung Park*, Ik-Do Lee, Kang-Taek Lee, Du-Jeoung Kim ILS R&d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