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품질연구회(DQS)가 전하는 품질 인사이트

DQS 매거진

DoD DSP가 뭐예유?

2. DoD DSP : 국방규격, 표준 및 핸드북 등 8종

2024. 08. 30

백현봉
한미자유안보정책센터 방위산업연구본부장
예)공군 중령

백원철
LEOinnovision 대표이사
DQS 정보조사 소분과위원장
미 DMSMS 교육 이수

1편에서 DoD DSP 이해와 명확한 Positioning 정립을 위해 DSP 일반사항, “BIG A” Acquisition 및 수명주기 등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국방표준화는 한국군도 “BIG A” Acquisition 전반에 걸쳐 적용되어야 하며, 한국군이 미래 지향적인 국방표준화로 나가기 위해서는 제도․절차, 관리 조직 등 추진 기반 구축 필요성을 제기했다.

2편에서는 DoD DSP 총람의 전반적인 내용을 먼저 소개하고 12종 프로그램 가운데 3편에서 다룰 5종(품목 감축 포함)의 부품관리 패밀리 프로그램 외 8종의 프로그램에 대해 함축적으로 설명해 나가고자 한다. 현재 한국군이 운영하지 않고 있는 프로그램이지만 이를 통해 한국군에서 향후 프로그램으로 도입하는 계기가 되기를 소망하면서 두 번째 비행 Take off!

안녕하세요. DoD DSP Learning 호 두 번째 비행에 탑승한 귀하를 환영합니다. 귀하를 경유지에 안전하게 모시기 위해 조종석에 들어서는 데 ’계몽(Enlightenment)‘이라는 단어가 문득 생각나네요. 우리 모두 국방표준화 전문가, 각 분야의 엔지니어, 계몽(혁신)가로 거듭나 한국군의 국방표준화가 바른길로 진입하는 데 매개체가 되기를 소망하며 함께 갑시다.

State of the DSP Report

DSP 총람 보고서는 격년 주기로 발행된다. 해당 보고서는 DSP 이해관계자에게 DSPO에서 관리하는 프로그램 개요, 당면과제, 향후 활동 및 중점 영역 등 DSP 현황을 제공한다. 도구, 프로세스 및 표준화 문서를 유지관리 및 현대화하고 최신 기술 역량을 활용하여 엔지니어, 군수 전문가, 획득 인력의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DSP를 처음 접하는 표준화 전문가, 엔지니어, 군수 전문가 및 획득 전문가를 위한 참조 및 소개 자료로도 사용된다. 총람 보고서는 12종의 DSP 프로그램(표 1 참조), 5종의 도구(표 2 참조), DAU 중심의 교육훈련 및 사례 연구, 가이드북, Journal 등 발간물(그림 1 참조)로 구성되었다. 오늘날 DSP는 전투원에게 상호 운용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우수하고 경제적인 장비 제공을 위해 표준화 문서를 개발하고 유지 관리하는 업계, 국제 파트너 및 비정부표준단체(NGSB)뿐 아니라 DoD 전반의 표준화 관리기관과 엔지니어의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유형 현황
국방 규격, 표준 및 핸드북
  • 합동 군사 능력 요구사항을 식별, 평가 및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합참의장(CJCS) 및 합동 요구사항 감독 협의회(JROC) 지원
비정부표준(NGS)
  • DoD에서는 OMB 회람 A-119에 따라 NGS 사용을 권장함
  • ASSIST : 7,480종의 활성 NGS 보유, 전체 문서의 1/3 수준임
국제표준화
  • 미국 군대, 동맹국과 파트너가 사용하는 군수품 및 보급품의 가용성과 상호 운용성을 보장함
  • ASSIST : 2,932종의 활성 국제표준화협정(ISA) 액세스를 제공함
자료품목기술서
(DID)
  • DID는 정부에서 사용할 자료 작성 내용 및 형식 요구사항 식별을 위해 계약에 따라 각 군과 국방기관에 의해 작성되고 승인됨
  • ASSIST : 1,789종 중 1,225종이 활성화됨
모듈식 개방형 시스템 접근방식
(MOSA)
  • MOSA는 시스템 수명주기 동안 경쟁력 있고 경제적인 획득 및 지속유지 달성을 위한 통합된 비즈니스 및 기술 전략임
  • OUSD(R&E) 차원에서 협력적인 모듈식 개방형 시스템 실무그룹(MOSWG)을 이끌고 있음
적층 제조
(AM : 일명 3D 프린팅)
  • 표준은 AM 기술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임
  • DSPO에서는 각 군 및 국방기관과 협력, 상용 또는 산업표준 개발에 관해 비정부표준단체와 협력 및 AM 표준화에 대한 DoD 차원의 협력을 보장함
인증
(Qualification)
  • 인증 프로그램에서는 인증된 제품이 구매 시점에 수행하기 어려운 특정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는 확신을 구매자에게 제공함
  • 750종 인증품목목록(QPL)에는 1,900만 종의 부품번호를 포함하고 있음
부품관리 및 품목 감축
(IR)
  • DoD 시스템(또는 장비)에서 사용할 최적의 부품 선택 엔지니어링 분야인 부품관리는 시스템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설계, 생산, 운영, 지원 및 처리(disposal) 단계까지 고려함
  • 애플리케이션, 표준화, 기술, 인증, 양산성 등 다양한 고려사항을 가짐
제조원 감소 및 자재 부족
(DMSMS : 부품 단종)
  • 모든 시스템은 DMSMS 이슈에 취약하며, DMSMS 이슈는 품목, 원자재, SW 제조업체, 공급업체의 손실 또는 임박한 손실을 의미함
  • DMSMS 관리는 노후화, 제조원 손실 등을 분석 후 비용 효율적인 전략을 구현하는 다분야 프로세스임
위조 부품
  • 위조 부품을 만들고 판매하는 범죄 조직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각 군에서는 담당자 확보 및 지식을 공유함
  • 위조 사례가 개조 및 재생 부품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신규 생산 위조품에도 적발되고 있음
정부-업계 자료 교환 프로그램
(GIDEP)
  • 약 450개 정부 사이트 및 3,000개 업체 사이트를 지원함
  • 정부 기관과 업계 파트너 간의 기술정보 공유 촉진 및 활성화하여 시스템 안전성, 신뢰성 및 준비태세 향상, 시스템 개발, 생산 및 소유비용을 절감함
  • 의심되는 위조 부품, 부적합 부품 보고서 교환이 중요한 역할임
합동표준화위원회
(JSB)
  • 국방표준화 행정관은 다중 서비스 표준화 프로그램 지원 및 촉진, 획득, 표준화 및 지속유지 결정을 위해 6종의 활성 JSB를 승인함
  • 유형 : 공중급유시스템, 원정대 주둔지 시스템, 신관 및 기폭시스템, 복합운송 장비, 이동식 전력시스템, 전원시스템 및 전술 쉘터

표 1. DSP 프로그램 유형(12종) 및 현황

유형 현황
ASSIST
(획득 간소화 및 표준화 정보시스템)
  • ASSIST 온라인 도구 모음(suite)은 DSP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임
  • ASSIST는 DoD에서 채택한 28,559종의 활성 표준화 문서 저장소이며 표준화 문서를 생성, 유지, 검색 및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분석 및 워크플로우 도구 시스템을 가짐
  • 수년에 걸쳐 QPD, WSIT, Pin Point 등 추가 기능 및 도구를 통합, 표준화 문서를 사용하는 사용자 프로세스 및 분석을 자동화함
인증품목 데이터베이스
(QPD)
  • DoD 인증 데이터의 공식 소스인 QPD에는 인증 품목 목록(QPL) 및 인증 제조업체 목록(QML)을 포함함
  • 단일 소스 및 소스가 없는 QPL 식별과 최소화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무기체계 영향도구
(WSIT)
  • 사용자가 무기체계, 부품별 표준과 규격 사용을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사용자는 문서가 변경됨에 따라 무기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음
PIN POINT
  • 연방 공급망의 부품 조사를 위한 정부 전용 쿼리 엔진임
  • 사용자에게 공급 웹에서 국가재고번호(NSN) 및 수천만 개 상용 부품에 대한 풍부한 기술 및 군수 정보를 제공함
DSP 웹 사이트
  • 전 세계 대중과 표준화 이해관계자에게 국방표준화 뉴스와 정보를 제공함
  • DoD 공개 웹 프로그램인 국방 미디어 기관에서 호스팅하며 연간 약 234,000회 방문자가 방문함

표 2. 주요 도구(5종) 및 현황

그림 1. DSPO 발간물

국방표준화프로그램

1. 국방 규격, 표준 및 핸드북

DoDM 4120.24 “DSP 절차”에서는 주관 기관(Originating Authority)과 목적에 따라 구분되는 9종의 표준화 문서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프로세스, 실행(practice), 절차 및 방법을 설명하는 문서를 "표준(Standard)"이라고 하며, 제품이나 프로세스의 특정 기술 요구사항을 식별하는 문서를 "규격(Specification)"이라 한다. 세 번째 유형의 군사 관련 표준화 문서인 국방 핸드북1)은 제품, 프로세스, 실행 및 방법에 대한 절차, 기술, 설계 정보 또는 선택이나 적용 기준에 대한 추가 지침을 제공한다.

  • 국방 규격. 군사 고유 물자 또는 실질적으로 개조된 상용 품목의 필수 기술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규격. 예: MIL-PRF-32562, MIL-DTL-5541F.
  • 국방 표준. 군사 고유 또는 실질적으로 개조된 상용 프로세스, 절차, 실행 및 방법에 대한 통일 된 엔지니어링 및 기술 요구사항을 설정하는 표준. 국방 표준에는 인터페이스 표준, 설계기준 표준, 제조공정 표준, 실행 표준 및 시험방법 표준 등 5가지 유형이 있다. 예: MIL-STD-810
  • 국방 핸드북. DSP에서 다루는 물자, 프로세스, 실행 및 방법에 관한 표준 절차, 기술,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정보를 제공하는 핸드북. 예: MIL-HDBK-116
  • 자료품목기술서(DID). 계약자에게 요구할 데이터를 정의하는 완성된 양식이며 데이터 내용, 작성 지침, 형식 및 용도를 정의한다. 예: DI-TMSS-80007
  • 연방 규격. 상용 또는 개조된 상용 제품에 대해 조달청(GSA)에서 발행 또는 관리하는 규격. 상용품목기술서(CID)에 비해 매우 광범위한 요구사항 또는 시험을 포함한다. 예: O-I-1279B 및 W-L-101/37B
  • 연방 표준. 모든 연방 기관에서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절차, 실행 및 방법을 다루는 조달청에서 발행하거나 관리하는 표준. 예: FED-STD-311
  • 상용품목기술서(CID). GSA에서 관리하는 단순화된 제품 기술서. 기능 또는 성능 특성에 따라 정부 니즈를 충족하는 사용 가능하고 수용 가능한 상용 품목을 기술한다. 예: A-A-180C
  • 국제표준화 협약(ISA). 다국적 조약 기구의 여러 회원국 또는 전체 회원국이 군사 장비, 탄약, 보급품 및 저장품을 채택하기로 합의한 기록. 예: AOP-52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표준화 협정(STANAG)-7098
  • 비정부표준(NGS). 표준, 규격, 핸드북 또는 관련 문서를 계획, 개발, 수립 또는 조정하는 민간단체, 조직 또는 기술 협회에서 개발한 국가 또는 국제 표준화 문서. 해당 용어에는 개별 회사의 표준은 포함되지 않는다. ASSIST에는 DoD에서 채택한 NGS 표준이 나열되어 있다. 예: ASME-B16.18, ASTM-B166 및 ISO8535-1

DoD에서 사용하는 규격과 표준의 공식 소스는 ASSIST이다. 국방 규격은 MIL-STD-961, “국방 및 프로그램-고유 규격 형식 및 내용”에 따라, 국방 표준은 MIL-STD-962, “국방 표준 형식 및 내용”에 따라, 국방 핸드북은 MIL-STD-967, “국방 핸드북 형식 및 내용”에 따라 작성된다.

MilSpec Reform(1994-2000)에 따라 29,000종 이상의 국방 규격과 표준을 검토하여 그 결과 대체 없이 6,100종이 폐지되고 NGS, 성능 규격, CID 또는 핸드북으로 3,500종이 대체되었다. 1995년 이후 국방표준화협의회(DSC)에서는 폐지된 4종의 국방 표준에 대해서만 복위(reinstatement)하도록 승인했다. 그리고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7종의 신규 국방 표준만이 승인되었다.

표 3에서는 2024년 4월 기준, ASSIST 데이터베이스의 활성(Active) 및 폐지(Canceled) 표준화 문서 종수(전체 종수는 비활성도 포함)를 보여준다. 해당 수치는 문서가 개정, 비활성화(Inactive) 또는 추가됨에 따라 수시로 변동된다.

표준화 문서 축약형 활성(종) 폐지(종) 전체 종수
국방 국방 표준 MIL-STD 368 1,699 2,505
표준화 문서 국방 규격 MIL-SPEC 8,525 52,139 66,806
  국방 핸드북 MIL-HDBK 265 320 619
  자료품목기술서 DID 1,225 589 1,814
국제표준협정(ISA) ISA 2,982 2,168 5,155
비정부표준(NGS) NGS 7,472 3,609 11,081
연방 표준화 문서 연방 표준 FED-STD 68 884 954
연방 규격 FED-SPEC 502 6,217 6,869
상용품 기술서 CID 2,251 5,822 8,141
전체 종수 23,658 73,447 103,944

표 2. 주요 도구(5종) 및 현황

당면과제로 DoDM 4120.24 문서에서는 5년마다 표준화 문서의 통용성(currency) 및 니즈(Needs)를 검토하도록 요구한다. 이를 위해 표준에 정통하고 숙련된 인력의 지속적인 확보 및 유지를 위한 자원의 충분한 활용에 대한 인식 제고, 가용성 및 자금 지원이 보장되어야 한다.

2. 비정부표준(NGS: Non-Government Standards)

DoD에서는 모든 연방 기관이 공법 104-113, 국가기술 이전 및 발전법, 관리예산국(OMB) 회람 A-119, "자발적 합의 표준 개발과 사용 및 적합성 평가 활동에 연방 참여"에 따라 비정부표준을 사용하도록 주도하고 있다. 1994~2000년 MilSpec Reform을 통해 수백 종의 이중용도(민·군) 군사 문서를 비정부표준단체(NGSB)로 이관하고, 군사 고유 문서에 대한 의존보다 NGS 사용 또는 개발 우선순위 보장을 위한 정책, 절차, 교육훈련을 제정했다. 그림 2에서는 군사 표준과 규격에 대한 의존도의 급격한 감소와 NGS 채택과 사용 증가를 나타낸다.

그림 2. 문서 유형별 ASSIST 보유 현황

MilSpec Reform 이후, NGS는 DoD에서 사용하는 표준화 문서의 약 1/3에 해당하는 수준을 일관되게 유지해 오고 있다. DoD 직원은 모든 수준에서 NGSB에 참여한다. NGSB 참여 및 라이선스를 부여하며 필요한 표준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 권한을 확보하는 데 드는 비용은 비정부표준을 추가로 구현하는 데 지속적인 걸림돌이 되고 있다.

3. 국제표준화(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는 협력을 심화시키고 다국적 군사 작전을 훈련하고 실행할 때 미국 군대, 동맹국 및 파트너가 사용하는 군수품 및 보급품의 가용성과 상호 운용성을 촉진한다. ASSIST에서는 DoD 직원과 국방 계약업체에 무인 항공기, 연료 및 정보, 감시 및 정찰(ISR)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군수품, 운영 및 관리에 대한 2,982종의 활성 국제표준화협정(ISA) 액세스를 제공한다. ISA에서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Five Eyes 공군 상호 운용성 협의회(AFIC),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및 뉴질랜드 군대(ABCANZ), 유럽연합, 유럽 방위청 관련 표준화 기관 등 군사 및 비군사 다국적 조직에서 생성한 표준화 문서를 관리하고 이를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절차 및 지침 문서에 중점을 둔다. DSPO에서는 NATO 표준화 정책 개발 촉진, 교육 주관, ISA에 대한 DoD 조정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구현되는 것을 모니터링하고 추적하는 것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4. 자료품목기술서(DID: Data Item Descriptions)

DID는 계약 조건에 따라 정부를 위해 작성된 데이터의 내용과 형식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계약 목표를 충족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요구사항을 명시한다. DID는 계약자료 요구사항목록(CDRL)2)을 적용한 계약 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가능한 계약자 형식을 허용해야 한다. DID는 정부에서 사용할 자료 작성을 위한 내용 및 형식 요구사항 식별을 위해 계약에 따라 각 군과 국방기관에 의해 작성되고 승인된다. ASSIST에 있는 DID 1,814종 중 1,225종이 활성화되어 있고 589종은 폐지되었다. 문서 적합성 절차를 통해 ASSIST에서 DID의 전반적인 품질이 개선되었지만, ASSIST에 관련되고 요구된 DID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지속적인 과제로 남아 있다.

5. MOSA: Modular Open Systems Approach

모듈식 개방형 시스템 접근방식(MOSA)은 시스템 수명주기 동안 경쟁력 있고 경제적인 획득 및 지속유지 달성을 위한 통합된 비즈니스 및 기술 전략이다. DoD 시스템 개발 시 MOSA는 기술 아키텍처로 구성된 획득 및 설계 전략으로, 개방형 표준을 채택하고 모듈식의 느슨하게 결합되고 일관성이 높은 시스템 구조를 지원한다. MOSA는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승인된 표준에 따라 설계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모듈식 설계 사용을 의미한다. 국방 프로그램에서 MOSA를 보다 더 잘 활용하기 위해 연구 및 엔지니어링 담당 국방차관실(OUSD(R&E))에서 협력적인 모듈식 개방형 시스템 실무그룹(MOSWG)을 이끌고 있다. MOSWG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집행 사무소, 프로그램 관리자, 엔지니어링, 과학 및 기술 제안자를 포함한 국방 엔지니어링 및 획득 커뮤니티의 다양한 부문을 대표한다. MOSWG에서는 서비스 및 기타 기관을 통해 모듈식 개방형 엔지니어링 원칙을 장려하고 모듈식 개방형 실무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각 군에서도 MOSA 발전을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미 육군은 MOSA 구현 가이드를 발표했고, 미 공군에서는 개방형 아키텍처 관리 사무소를 개설했다. 미 해군의 MOSA 발전 경로에는 MOSA 구현을 통한 신규 프로그램 지원, MOSA 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모니터링, 계약을 통한 파트너와의 솔루션 생성 등이다. 2019년 1월, 육․해․공군 장관은 MOSA 3군 장관 각서(tri-Service memorandum)에 서명하고 공표했다. 각 군 표준화 담당관에게는 격차를 발견하고 변경을 구현하며 가능한 MOSA 지원 표준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도록 지시했다. 각 군과 OSD에서는 Modular Open Systems Working Group 산하에 3개의 MOSA Tiger 팀(표준, 이행 지침, 요구사항 및 프로그래밍 기능)을 구성했다. 3개의 초기 Tiger 팀은 나중에 8개 팀으로 확장되었으며 성숙도 평가서 작성, MOSA별 표준 공식화, 격차 분석, 표준 프로파일 정의 및 MOSA 표준 니즈 평가 제공을 위해 재구성하였다.

OSD에서는 모듈식 MOSS3) 표준화 영역(AREA)을 설정하고 정의했다. ASSIST에서는 DoD 차원의 MOSA 지원 표준 적용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해당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OSD에서는 표준, 아키텍처,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권한에 대한 MOSA 지원 표준과 정책 및 지침의 통합 목록을 개발하고 ASSIST의 각 문서에 태그를 지정했다. DSPO에서는 국방정보체계국(DISA)과 협력하여 ASSIST에서 DISR4)이 요구하는 문서에 태그를 지정함으로써 ASSIST와 DISR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고 시스템 간 업데이트를 자동화하기 위한 조정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MOSA는 DoD 표준화 프로그램으로 늦게 편입되었지만 활발한 프로그램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MOSA 지원 표준 및 관련 표준화 도구에 대한 정보는 ASSIST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적층 제조(AM: Additive Manufacturing)

3D 프린팅이라고 알려진 적층 제조(AM)는 빠르게 성장하고 변화하고 있는 분야이다. 기업들은 수십 년 동안 설계 프로세스에서 AM를 사용하여 디지털 파일로 3차원 입체 물체를 만들어 왔다. 이러한 관행이 최종 사용 품목을 제작하는 데 보편화됨에 따라 DoD 관심을 끌고 있다. AM 기술이 발전하고 부품 생산 방법으로서 해당 개념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됨에 따라 표준에서도 품질 및 성능 요구사항을 준수할 수 있도록 보조를 맞추고 있다.

표준과 규격은 DoD에서 AM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AM 표준화에 대한 DoD 차원의 노력과 참여를 조율하기 위해 DSPO에서는 각 군 및 국방기관과 협력하여 상용 또는 산업표준 개발 관련 비정부표준단체와의 협력을 포함하여 AM 표준화 노력에 대한 DoD 차원의 협력을 보장하고 있다. 2017년 9월, OSD에서는 전투원과 지속유지 관리자를 지원하는 데 AM 적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각 군과 국방기관 간 커뮤니케이션 및 조정에 중점을 둔 합동적층제조 운영그룹 및 합동적층제조 실무그룹(JAMWG)을 설립했다.

JAMWG에서는 데이터 및 모델 공유, 인증(Qualification) 및 증명(Certification), 비즈니스 프랙티스, 인력 개발 등 4개 이해관계자 협의체를 설립했고, 이들 모두 표준화를 통해 활성화되고 있다. DoD 글로벌 무기시스템 정비유지 엔터프라이즈 지원을 위해 통합 DoD 전략 비전을 수립하고 AM 기술의 협력적이고 전술적 구현을 촉진하기 위해 적층 제조 정비유지 운영 실무그룹(AMMO WG)이 설립되었다. DoD 관점을 촉진하도록 업계 전반의 AM 표준 및 규격 개발에 DoD 참여를 보장하는 것은 DoD 및 AM 표준 개발이 직면한 가장 큰 당면과제 중 하나이다.

7. 인증(Qualification)

인증은 획득이나 계약 이전 그리고 계약과 무관하게 장기간 또는 매우 복잡한 평가와 시험을 통해 지속적인 제품 성능, 품질 및 신뢰성을 보장한다. 인증은 제조업체 제품이나 프로세스 및 자재가 해당 규격을 준수하는지 증명하는 전체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인증을 충족하는 제품, 프로세스 및 자재는 전자 QPL(인증 품목 목록) 또는 QML(인증 제조업체 목록)로 QPD(인증 품목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인증을 통해 필수 품질, 신뢰성, 성능 및 안전성을 갖춘 제품의 가용성을 향상시키고 조달 프로세스를 단축하며 준비태세를 향상시킨다. 또한 반복적인 감시 감사(surveillance audits) 및 시험을 제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QPD는 DoD 인증 데이터의 공식 소스 역할을 한다. 워크플로우 시스템인 QPD를 이용하면 인증심사기관을 통해 QPL 및 QML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에서는 인증 데이터의 보존 상태를 추적하고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의 인증 관련 담당자 정보와 정부 및 제조업체 부품번호를 포함한다. ASSIST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통합으로 공개 제한 ASSIST 엔클레이브(enclave)를 통해 QPD에 액세스할 수 있다.

754종 QPL은 1,900만 종 이상의 제조업체 부품번호에 대해 24개 인증심사기관을 통해 각 군 및 국방기관의 인증을 관리한다. ASSIST 모든 문서 중 2%만이 인증 요구사항을 갖추고 있다. 각 군 및 국방기관 중에서 해군이 348종으로 QPL의 비율이 가장 높고 DLA, 공군, 육군, GSA 순으로 그 뒤를 잇는다.

QPD에서는 QPL 유지관리가 요구될 때 인증심사기관에 경고를 보내 인증심사기관에서 인증 데이터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2006년부터 인증심사기관에서는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증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정부 및 업계 구매자가 확신을 가지고 QPL 부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QPD는 실시간으로 운영되므로 인증심사기관 관리자는 이를 사용하여 보고서를 실행하고 QPL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변경하거나 자원을 어디에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DoD 인증 프로그램에서는 단일 소스 및 제로 소스 조건을 피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QPL은 다양한 이유로 단일 소스 또는 제로 소스 조건을 가질 수 있지만 이러한 조건이 장기간 존재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DoD 시스템의 부품 획득 및 군수지원에 영향을 미친다. QPL에 자격을 갖춘 공급업체와 제조업체가 많을수록 인증 프로그램은 더욱 견고해진다. 인증심사기관에서는 제로 소스 QPL을 최소한으로 유지한다. 2년이 지난 후 인증심사기관을 통해 공급업체가 제로 소스 조건을 제거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지 못한 경우, 사용 가능한 제품의 인증이 허용되도록 규격을 수정 또는 인증 요구사항이 제거되도록 개정하거나 폐지해야 한다. QPL 소스와 관련된 문제 완화를 위해, DSPO에서는 인증심사기관에 보고하고 DepSO(각 군/기관별 표준화 담당관)에서는 분기별로 제로 소스 및 단일 소스 QPL를 보고한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소싱 이슈에 대해 각 군에 경고한다.

8. 합동표준화위원회(Joint Standardization Board, JSB)

JSB는 각 군, 국방 기관, 방위산업체, 학계, 동맹국 및 파트너(예: NATO)가 공통적이고 상호 만족스러운 표준화 솔루션 달성을 위한 포럼이다. JSB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준화 당면과제를 해결한다.

  • 다양한 FSC/FSG 또는 표준화 영역(AREA)에 걸쳐 있어 단일 선도 표준화기관이 처리할 수 없는 경우
  • 지정된 선도 표준화기관이 없는 발전하는 기술 또는 생산품
  • 표준화 문서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는 국방표준화 행정관이 식별한 표준화 이슈

JSB에서는 다양한 사용군의 표준화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동시에 획득, 표준화 및 지속유지 의사결정을 내린다. 각 JSB는 전략적 표준화 이니셔티브에 대한 상위 수준의 감독 및 지지를 위한 공동 포럼 역할을 하며 지정된 생산품 영역의 전사적 표준화 목표 및 전략을 정의한다. 또한 표준화 지지, 지침 및 경영진 수준의 지원을 제공하여 책임 영역에서 상호 운용성, 군수 준비태세 및 비용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들은 생산품 관련 이슈와 니즈를 해결하고 표준화 커뮤니티에서 자원을 현명하게 할당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리더십을 제공한다.

국방표준화 행정관이 승인한 6종의 JSB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JSB별 워킹그룹 및 한국군의 관련 조직을 표 4와 같이 제시한다.

JSB 종류 수행하는 워킹그룹 관련 조직
1. 공중급유시스템 공중급유시스템 자문그룹(ARSAG) 공군 5전비
2. 원정대 쉘터 및 주둔지 장비 원정대 쉘터 및 주둔지 장비(ESBE) WG 국방시설본부
3. 신관 및 기폭 시스템 신관 엔지니어링 표준화 작업그룹(FESWG) 탄약지원사
4. 복합운송(Intermodal) 장비 합동 Intermodal WG 국군 수송사
5. 모바일 전력시스템(MEPS) PM, 원정대 에너지 및 지속유지 시스템 국방 시설본부
6. 전원 시스템(PSS) 합동 배터리 기술 WG, PSS 방위사업청

표 4. 국방표준화 행정관이 승인한 JSB 현황

맺음말

이번 비행에서는 DoD “State of the DSP Report”의 전반적인 내용 및 12종 프로그램 중 8종 프로그램에 대해 함축적으로 소개했는데 어떤 느낌을 받았나요? 아마도 귀하가 평소 실무에서 접하고 있는 내용과 거리가 있고 생소한 용어로 인해 쉽게 다가오지 않았을 것으로 봅니다.

지난 비행에서 DSP Positioning 재정립과 함께 국방표준화는 해당 부서/기관 담당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한국군 전반에 걸쳐 적용된다는 것에 동의가 쉽지 않았지요. 이번 비행을 통해 먼저 우리가 알고 있는 ‘국방 규격’ 용어를 재정의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한국군에서 ‘국방 규격’과 ‘기술자료묶음(TDP) 용어를 바꿔 사용하면서 지금에 이른 것은 기적 중에 기적입니다.

다음은 표준화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입니다. 본문 표 1에서 DoD 프로그램 12종을 개략적으로 설명했습니다. 한편 한국군은 품목 지정, 형상관리 및 규격화 등 3종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5) 다음은 한국군이 해결해야 과제 중 하나가 MOSA입니다. MOSA는 Interoperability, Tech Refresh, Competition, Innovation 및 Cost Savings/Cost Avoidance 등 5가지 편익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Modular Design, Defined Interfaces, Standards Process, Accessible Data, Open Interfaces 및 IP Rights 등 SE(체계공학) 차원의 접근을 요구합니다. MOSA는 군수품 편익을 위해 AM과 함께 한국군이 시급하게 도입해야 할 프로그램입니다. MOSA 도입을 위해서는 전군 차원에서, 소요 결정 단계부터 아키텍처 차원의 준비가 요구됩니다. 이에 산학연 전문 인력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DQS 커뮤니티를 통한 도입을 제안합니다.

다음은 ’국방 규격‘이란 명목으로 생산되고 있는 수많은 기술 자료의 품질보증 관련 내용입니다. 규격화를 통해 납품된 각종 기술 자료는 KDSIS에 저장되어 관리됩니다. 하지만 기술 자료별 담당자가 없는 상태에서 품질보증은 보장할 수 없습니다. DoD의 경우(표 3 참조), 폐지 된 문서 종수가 활성 문서 종수보다 3배 이상입니다. 이에 반해 한 예로 한국군 QAR의 경우, 1978~2024.4월 현재 총 37,382종이 제정되고 이 중에 87종만 폐지되었습니다. 이는 QAR 문서가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한편 문서별 군 내 담당자가 부재한 가운데 적합성 검토도 외부 용역에 의해 수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각종 기술자료 관리는 기술 자료의 품질보증 및 국가 예산 활용 차원에서도 개선되어야 합니다.

한국군의 표준화 발전에 대한 기대와 애정으로 인해 맺음말이 길어졌지만 몇 가지를 추가 제안합니다. 연합정밀㈜에서는 아시아 최초로 2018년부터 7개 품목 11,116종의 QPL 인증을 획득하였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수출 시 품질인증 호혜주의 차원의 혜택을 위해 한국군도 QPL 제도 도입을 제안합니다. 또한 DoD처럼 군사 표준과 규격 제정 대신에 NGSB에서 제정한 표준을 채택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도 군 내 전문 인력 양성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현 정부의 활발한 외교에 힘입어 한미일 군사동맹 관계가 굳건해지고 NATO-ITPP 협력 강화 및 K-방산의 약진에 따라 ISA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한국군의 계약제도 보강, DoD DID 채택과 함께 CDRL 제도 도입을 제안합니다. 다음 비행에서는 국방부와 각 군의 이슈인 부품 단종과 위조부품이 포함된 ’부품관리 패밀리‘라는 별칭으로 귀하를 기다리겠습니다. 우리 모두 세 번째 비행에서 만납시다.

  • 1) 한국군에서는 국방 규격과 표준(국방 표준서라 칭함)만 운영하며 핸드북 제도는 운영하지 않고 있다.
  • 2) 입찰 공고에서 잠재적인 데이터 요구사항 식별을 위한 표준 형식 및 계약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 요구사항을 말한다. <source: DoD 5012-M “Procedures for the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Technical Data” DL1 Definition>
  • 3) Modular and Open Systems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 4) Defense Information Technology Standards Registry. DoD 전반에 걸쳐 사용하도록 규정된 DoD IT와 NSS 표준을 식별하는 권위 있는 레지스트리(Registory).
  • 5) DoD 12개 프로그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고 DSP와는 거리가 있다.
참고문헌
  • 1. MIL-STD-961E, “Defense and Program-Unique Specifications Format and Content”, 2015
  • 2. DoD Manual 4120.24,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DSP) Procedures”, 2018.
  • 3. DoD DSPO, “State of the Defense Standardization Program Report, Special Anniversary Edition”, 2023.
  • 4. Mr. Robert Gold, “Improving Transition: Modular Open Systems Approach(MOSA) & Engineering Enablers”, 19th Annual NDIA Systems Engineering Conference, 2016.
  • 5. 아시아 최초 QPL 인증 획득! 방산 부품 국산화 선두기업 연합정밀(주)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08&num=371
  • 6. DSP website: http://www.dsp.dla.mil/